Section 22. 네트워크 장비의 이해

2020. 10. 14. 14:47정보보안기사

랜카드

랜카느는 PC혹은 네트워크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있도록 만들어준다.

병렬로 이루어진 정보를 직렬로 바꾸어준다.

 

허브

허브는 오직 물리 계층

신호 감쇠가 데이터를 무결성 훼손 방지->단순 신호 증폭

필터링 기능 없음

 

브리지

Mac을 기반으로 전송할 포트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확장과 격리를 위해 설치

네트워크 장비 충돌방지(충돌 도메인)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 보안성을 높임

 

스위치

허브(내장 회로)와 리피터(증폭)의 기능을 합침

종류

2계층 스위치(데이터 링크 계층)

MAC 주소를 학습하며 스위칭테이블을 생성/갱신한다.

3계층 스위치(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스위치라고도 한다.

크로스바 스위치와 같은 ASIC 스위칭 기술을 이용한다.

--크로스바 스위치: 노드 to 노드 연결에 있어서 교차점이 될수있다..

4계층 스위치(전송 계층)

포트번호를 기준으로 패킷을 전송

패킷 필터링

로드 밸런싱(Server Load Balancing)

1023까지의 포트만을 인식

7계층 스위치

응용세션의 제어

모든 포트제어

4계층 스위치  vs 7계층 스위치

4계층 스위치는 포트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 패킷을 처리한다.

7계층 스위치는 트래픽의 내용(URL, e-mail 문자열,FTP 파일 제목 등등)의 패천을 분석하여 패킷을 처리한다.

계층이 높을수록 더 정교한 패킷의 부하분산 및 QoS기능 구현이 가능하다.

--QoS:데이터 흐름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데이터의 품질을 보장한다.

 

스위칭 방법

Store-and-Foward

일단 들어오는 프레임을 전부 받아들인 다음 처리하는 방식

에러 발견시 프레임 폐기 후 재전송 요구

복구능력 뛰어남

Cut-Through

처음 48비트만을 보고 목적지의 주소로 바로 보내버린다.

처리는 빠르지만 에러를 찾기가 힘들다.

복구력이 약함

Fragment-Free

처음 512 비트를 읽고 목적지의 주소로 보낸다.

 


라우터

3계층 장치

LAN간의 연결

LAN과 WAN과의 연결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

에러 패킷 폐기

특징

브로드캐스팅 및 멀티캐스팅 패킷 차단

ACL에 기반을 두어 트래픽을 필터링이나 분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위해 거쳐야하는 지점

서로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들을 연결

프로토콜 및 포맷 해석

 

VLAN

가상 근거리 네트워크

일반적으로 스위치나 라우터 장비에서 수행된다.

물리적으로 그룹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그룹을 나누는 것을 이야기한다.

'정보보안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tion 23-2. 무선 통신 보안  (0) 2020.10.14
Section 23-1. 무선통신 보안  (0) 2020.10.14
Section 21-3. 추가 용어들  (0) 2020.10.13
Section 21-2. 라우터 보안  (0) 2020.10.13
Section 21-1. 라우팅  (0) 2020.10.13